여행이야기 765

광명 구름산 종주산행(2021.03.05)

광명 구름산 종주산행 도덕산[ 道德山 ](183m) 산 남쪽의 끝자락에 옛날 사신들이 산봉우리에 모여 도(道)와 덕(德)을 나누었다고 하여 도덕산이라 불렀다. 구름산[ 雲山 ](240m) 원래 아방리에 있는 산이라 해서 아왕봉(阿王峯)이라고 불렀는데 조선후기에 구름 속까지 솟아 있다고 해서 구름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운산(雲山)이라고도 한다. 가학산[ 駕鶴山 ](220m) 가학산은 과거 학[지금의 백로로 추정]의 서식처로 학들이 멍에처럼 마을을 둘러쌌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마을 뒷산이 풍수지리로 볼 때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라고 한다. 서독산[ 書讀山 ](223m) 서독산은 일명 서덕산 또는 청덕산이라 불리어졌다고 한다. 기록에 의하면 과거 많은 선비들이 이곳에서 과거 급제를 위해 책을 읽고 공..

여행이야기 2021.03.05

화성 입파도 立波島(2021.02.28)

화성 입파도(立波島) 입파도 개요 입파도는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에 딸린 섬으로 면적 0.44km2, 해안선 길이 4.83km, 산 높이 50m이다. 9세대에 주민 15명이 거주한다. ‘서서 파도를 맞는다’라는 뜻의 이름을 지닌 ‘입파도(立波島)’는 서해안에서도 청정구역에 속한다. 직선으로는 서울에서 70km이고 인천에서는 40km, 그리고 수원에서는 50km 거리에 있다. 표고가 50m 이하의 구릉으로 연결된 선형의 섬이다. 이곳 역시 궁평항과 전곡항에서 도선이 오가지만 승객들이 별로 없어서 적자 노선이다. 여름 철에는 하루 세 차례, 겨울에는 두 차례 운항된다. 전곡항에서 정기여객선에 올라 누에섬 등대전망대와 제부도 사이를 지나 바닷바람을 맞으며 50여 분이면 입파도에 도착한다. 화성시의 섬은 ..

여행이야기 2021.02.28

오늘은 정월대보름날(2021.02.26)

오늘은 정월대보름날 2021년 2월 26일(금) 음력 정월 보름,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 명절의 하나. 음력 새해의 첫 보름날을 뜻하며, 전통적인 농경사회였던 한국에서는 마을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해 농사의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는 날이었다. 에 대보름에 대한 첫 기록이 남아 있으나, 그 이전부터도 대보름은 한국의 중요한 절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정월대보름날에는 오곡밥, 매생이국, 호박나물, 시래기나물,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취나물, 토란대나물, 부럼, 조기구이등의 음식을 차려먹었고, 부럼음식으로는 땅콩, 호두, 잣, 밤 등의 견과류로 겨울철 부족했던 영양분을 보충했다. 풍년과 복을 비는 행사로 볏가릿대세우기, 용알뜨기, 놋다리 밟기 등이 있고, 놀이풍습으로는 지신밟기, 용궁맞이, 쥐불놀이, 사자놀이, 줄..

여행이야기 2021.02.26

수리산 변산바람꽃(2021.02.21)

수리산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 서식지: 습한 지역과 반그늘 또는 양지 꽃색: 흰색 크기: 키는 약 5~8㎝ 정도 학명: Eranthis byunsanensis B. Y. Sun 분포지역: 변산, 지리산과 마이산, 한라산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이른 봄 결실기: 4~5월경 봄을 전하는 바람꽃 바람꽃은 바람이 잘 부는 곳에 자라는 들풀이라서 주로 산이나 숲에 많이 자란다. 변산바람꽃이 한국특산종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93년 전북대학교 선병윤교수가 변산반도에서 채집해 발표하면서 부터이다. 학명도 발견지인 변산과 선교수의 이름이 그대로 채택되어 "애란시스 변산엔시스 병윤 선(Eranthis Byunsanensis B.Y.Sun)으로 표기하고 있다. 변산바람꽃 학명의 의미에는 봄꽃이라는 뜻의 Eran..

여행이야기 2021.02.21

수원 광교산(2021.02.13)

수원광교산(582m) 광교산 광교산(光敎山, 582m)은 북쪽에서 오는 찬바람을 막아 주며 시가지를 품에 안고 있는 수원의 주산이다. 풍수지리에서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게 한다는 장풍득수(藏風得水)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 산이다. 높이에 비하면 인근의 백운산과 함께 바위가 거의 없이 상당한 규모를 자랑하는 덩치 큰 육산(肉山, 흙산)이다. 신경준의 《산경표》에 의하면 한남금북정맥의 한남정맥에 속하는 산으로 수원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용인에서 제일 높은 산은 해발 595m의 말아가리산(馬口山)이다. 이렇게 광교산은 해발 582m로 그다지 높은 산은 아니지만 자락을 넓게 벌리고 있는 산세가 풍요롭게 넓어 수원을 북에서 싸안고 있는 형세를 한 수원의 진산이다. 수목이 우거져 있어 산림욕을 하기에 적합하고..

여행이야기 2021.02.13

칠봉산-천보산(2021.02.11)

칠봉산-천보산 칠봉산(七峰山) 칠봉산(七峰山)의 높이는 506m이다. 천보산 지맥이 북쪽으로 이어져 솟은 산이다. 발리봉·응봉·석봉·깃대봉·투구봉·솔치봉·돌봉 등 7개 봉우리가 솟아 있어 칠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변에 삼봉산·오봉산·구봉산 등 홀수로 된 이름을 가진 산들이 많다. 조선시대 세조가 말년에 과거의 잘못을 뉘우치며 이곳에 올랐다 하여 어등산(御登山)이라고도 하고, 가을단풍이 아름다워 비단병풍에 비유하여 금병산(錦屛山)이라고도 한다. 인근에 목행선 선생 선묘와 탑동석불이 자리 잡고 있다. 칠봉산을 두고 양주군지에는산마루에 7개의 봉우리가 연이어지기 때문에 산 이름이 칠봉산으로 지어졌다고 전해지는데, 1봉은 임금이 처음 등산을 하기 위해 떠난 곳이라는 뜻인 발리봉發離峰, 2봉은 임금이 수렵에 ..

여행이야기 2021.02.11

광청종주길(2021.02.07)

광청종주길 광교산 광교산은 백두대간 13정맥 중 하나인 한남정맥(漢南正脈)의 주봉(主峰)이다. 한남정맥은 경기수부지역인 수원을 비롯한 용인, 광주, 과천, 안양, 의왕, 부천, 시흥, 김포, 화성, 오산, 평택, 안성 등 경기남부권 일원을 포용하면서 한강수계와 서해수계의 분수령을 이룬 경기산하의 모체라 할 수 있다. 한양에 경기도 행정의 본산인 관찰부와 도청이 자리하고 있을 때인 조선왕조 이래 1960대는 삼각산이 경기도의 진산(鎭山)으로 자리를 지켰으나 이제는 광교산이 경기도의 진산이 되어야 하는 이유가 충분히 있다. 광교산이 백두대간 한남정맥의 주봉으로 해발 582m인 경기 중부권 산하의 상징이자 물줄기의 근원을 이루는 발원처이기도 하지만 경기 중부권의 주산으로 나라의 고난과 함께 해온 산이기 때문이..

여행이야기 2021.02.07

칠장산-칠현산-덕성산(2021.01.31)

칠장산-칠현산-덕성산 칠장산 칠장산(七長山)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금광면·삼죽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가 492m이다. 산기슭에 있는 칠장사와 칠장사 주변의 울창한 숲으로 유명하고 칠현산(516.2m) · 덕성산(519m)과 더불어 웅장한 산세를 이룬다. 정상에서 칠현산쪽으로 내려오면 세개의 ‘정맥분기점’이라 새겨진 이정표가 있다. 금북정맥은 칠장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의 서북쪽을 지나는 산줄기로 충남을 가로질러 예산의 가야산을 지나 태안반도의 안흥진으로 이어지는 정맥이다. 한남정맥은 칠장산에서 시작하여 도덕산과 함박산으로 이어지는 13정맥의 하나이다. 또한 칠현산은 한남금북정맥의 끝나는 지점이기에 한남금북정맥에 속한다. 그리고 칠장산은 금북정맥과 한남정맥이 시작되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칠현산 경기도 안..

여행이야기 2021.01.31

소래산-거마산-성주산(2021.01.27)

蘇來山-距馬山-聖柱山 2021년01월27일 수요일. 쉬는 평일, 와이프가 장도 보고, 연근도 사러 가야된다고 했는데 아침에 일어나서 주방에나와 '아침에 일찍일어나면 소래산가려고 했는데...'라고 했더니 버럭 화를 내며 소래산가라고 큰소리를 낸다. 화를 내는 영문을 몰라 어리둥절하고 있으니 '나 때문에 못간것 처럼 얘기한다'고 화를 낸다. 기분이 상했느니 어쩌니 한다. 아침밥을 대충 먹고 씻고 나오니 옷를 차려입고 어디론가 갈 채비를 하고 있다. 뭔지 모르지만 상당히 예민해서 눈치만 보고 있어야 할 것 같다. 여자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화낼 일도 아니고 기분 나쁠 것도 없는 것 같은데 왜 그런지 알 수 가 없다.... 운동복을 갈아입고 소래산을 향했다. 쌀쌀한 바람이 분다. 왠지 요즘, 내심 우울하다...

여행이야기 2021.01.27

과천 청계산(2021.01.24)

과천청계산 서울대공원과 서울랜드, 국립현대미술관을 둘러싼 푸른 산자락이 바로 청계산이다. 서울 양재동과 과천시, 성남시,의왕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청계산은 관악산 산자락이 과천 시내를 에둘러 남쪽으로 뻗어내린 것이다. 산맥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서남쪽으로 뻗어나가 의왕시의 백운산, 모락산, 오봉산으로 이어진다. 청계산은 조선 태조 이성계에 의해 고려가 멸망하자, 고려말 충신이었던 조윤(趙胤)이 송도를 떠나 입산했던 곳이라고 전해진다. 청룡이 승천했던 곳이라고해서 청룡산으로 불리기도 하며 풍수지리학적으로는 관악산을 백호, 청계산을 청룡이라하여 '좌청룡 우백호'의 개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청계산은 울창한 숲과 아늑한 계곡, 공원, 사찰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가족산행의 명소로서 수 많은 등산로가 다양하..

여행이야기 2021.01.24

소래산-성주산(2021.01.21)

소래산-성주산 2021년01월21일 목요일 날씨: 흐림 (0도/5도) 동행: 홀로 코스: 산림욕장-내원사방향-계란마을-850계단- 정상-성주산-성주산장군굿당-성주산둥지숲-성주산-소래산쉼터-산림욕장 거리: 15.55km 시간: 4시간42분 오늘은 회사 쉬는 날. 늦잠도 자고, 오후에 비가 온다고 했으니 오전에 소래산을 다녀와야겠다. 08시30분 집에서 나왔다. 잿빛하늘, 듬성듬성 파란하늘이 보인다. 코로나19 획진자 수기 400명대를 유지하고 있는 요즘이다. 차츰 줄어들면 산악회 2월산행도 고려해 봄직도 하다. 어디로 가야하나? 오늘코스는 똑같다. 성주산을 가는도중 소사동정지용시인골목이 궁금하여 잠깐 검색를 해보니 갈만한것 같아서 성주산에서 소사동으로 하산 하산을 하니 성주산장군굿당이 나온다. 소사본동 민..

여행이야기 2021.01.21

수리산 수암봉(2021.01.17)

안양수리산 수암봉(398 m) 수리산의 봉우리는 태을봉(489 m), 슬기봉(451 m), 관모봉(426 m), 수암봉(398 m), 꼬깔봉(451.5 m), 부대옆봉(365 m), 태양산(329 m), 너구리산(서래봉)(308 m), 무성봉(258 m), 감투봉(185 m) 등이 있고, 능선은 슬기봉에서 관모봉까지 잇는 박쥐능선(이구아나능선) 등이 있다. 봉우리 및 절벽은 대체로 규암이고 계곡지대에는 풍화에 약한 흑운모호상 편마암이나 안구상 편마암이 많으며 부분적으로 백운모 및 흑운모 편암이 협재되어 있다. 산의 북쪽 골짜기에 있는 안양동의 담뱃골은 약 30호쯤 되는 작은 산촌으로 조선 후기에 헌종이 천주교를 박해하던 기해박해 때, 천주교신자들이 숨어 들어와 담배를 가꾸며 살던 곳이다 이들 중 이 땅의..

여행이야기 2021.01.17

소래산-성주산-거마산종주(2021.01.16)

소래산-성주산-거마산종주 2021년01월16일 토요일. 기온: -4/-3도 동행:홀로 코스:소래산산림욕장-내원사방향-계란마을-850계단-소래산정상-솔밭쉼터-성주산-거마산-은행나무-소래산쉼터-산림욕장 거리:14.12km 시간:4시간03분 코로나19의 사회적거리두기가 3단계와 2.5단계를 오르내리는 조치들이 시행되고 있는가운데 헬스장도 문을 닫은지 한달이 되었다. 날씨도 춥고 눈도내리고하여 마땅히 운동할 공간이 없어졌다. 하여 집에서 코어운동으로 대신하지만 그것도 쉽지는 않다. 한번은 마음먹고 정석으로 해봤더니 이후에 허리아프고 엉덩이 근육에 알베기고 난리가 아니였다. 그다음부턴 겁이나서 살살 하지만 규칙적으로 하기가 쉽지않고 생각대로 잘 안된다. 생활패턴이 바뀌니 일상이 불규칙적으로 흘러간다. 그러다 결국..

여행이야기 2021.01.16

석모도 해명산 기(氣)받이 산행(2021.01.02)

석모도 해명산(海明山) 기(氣)받이 산행 해명산(海明山) 인천광역시 강화군 석모도 한가운데 있는 산으로 강화의 6대산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석모도의 주봉이다. 산과 바다의 정취를 느낄 수 있으며 산세가 험하지 않아 산행이 수월하다. 석모도를 중심으로 산이 동서로 나뉘어 있는데 동쪽의 삼산면은 넓은 갯벌 전체가 논이고, 서쪽은 염전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산자락 곳곳에는 샘줄기가 솟아나 낚시터로 이름 난 저수지가 두 곳 있는데 일년 내내 물이 마르는 일이 없다. 정상에 서면 마니산과 매음리의 염전과 주문도가 보이고 낙가산과 상봉산, 서해바다에 점점이 흩어져 있는 크고 작은 섬들이 조망된다. 능선에는 회백색의 넓적바위인 천인대가 펼쳐져 있다. 이 산의 낙조는 특히 빼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모도의 주..

여행이야기 2021.01.02

소래산-성주산 소원산행(2021.01.01)

소래산-성주산 소원산행 2021년01월01일 동행: 홀로 거리: 11.91km 시간: 3시간 3분 코스: 산림욕장-내원사-계란마을-850계단-정상-솔나무쉼터-철책길-성주산-소래산쉼터-병아리길-산림욕장 경자년(庚子年)이 가고 신축년(辛丑年)이 왔다. 올해는 하얀소라고 한다. 천간이 '辛 신'이고 지지가 '丑축'인 해로써 38번째에 해당된다. 갑을(파란)병정(빨랑)무기(노랑)경신(하양)임계(검정) 방위를 보면 파랑은 '동', 빨라강은 '남' , 노랑은 '중앙' , 하양은 '서', 검정은 '북' 오방색 ‘오방정색’ 이라고도 하며. 황(黃). 청(靑). 백(白). 적(赤). 흑(黑)의 5가지 한국의 전통 색을 말한다. 음과 양의 기운이 생겨나 하늘과 땅이 되고 다시 음양의 두 기운이 목(木). 화(火). 토(土..

여행이야기 202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