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00

수원 광교산(2021.02.13)

수원광교산(582m) 광교산 광교산(光敎山, 582m)은 북쪽에서 오는 찬바람을 막아 주며 시가지를 품에 안고 있는 수원의 주산이다. 풍수지리에서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게 한다는 장풍득수(藏風得水)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 산이다. 높이에 비하면 인근의 백운산과 함께 바위가 거의 없이 상당한 규모를 자랑하는 덩치 큰 육산(肉山, 흙산)이다. 신경준의 《산경표》에 의하면 한남금북정맥의 한남정맥에 속하는 산으로 수원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용인에서 제일 높은 산은 해발 595m의 말아가리산(馬口山)이다. 이렇게 광교산은 해발 582m로 그다지 높은 산은 아니지만 자락을 넓게 벌리고 있는 산세가 풍요롭게 넓어 수원을 북에서 싸안고 있는 형세를 한 수원의 진산이다. 수목이 우거져 있어 산림욕을 하기에 적합하고..

여행이야기 2021.02.13

칠봉산-천보산(2021.02.11)

칠봉산-천보산 칠봉산(七峰山) 칠봉산(七峰山)의 높이는 506m이다. 천보산 지맥이 북쪽으로 이어져 솟은 산이다. 발리봉·응봉·석봉·깃대봉·투구봉·솔치봉·돌봉 등 7개 봉우리가 솟아 있어 칠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변에 삼봉산·오봉산·구봉산 등 홀수로 된 이름을 가진 산들이 많다. 조선시대 세조가 말년에 과거의 잘못을 뉘우치며 이곳에 올랐다 하여 어등산(御登山)이라고도 하고, 가을단풍이 아름다워 비단병풍에 비유하여 금병산(錦屛山)이라고도 한다. 인근에 목행선 선생 선묘와 탑동석불이 자리 잡고 있다. 칠봉산을 두고 양주군지에는산마루에 7개의 봉우리가 연이어지기 때문에 산 이름이 칠봉산으로 지어졌다고 전해지는데, 1봉은 임금이 처음 등산을 하기 위해 떠난 곳이라는 뜻인 발리봉發離峰, 2봉은 임금이 수렵에 ..

여행이야기 2021.02.11

광청종주길(2021.02.07)

광청종주길 광교산 광교산은 백두대간 13정맥 중 하나인 한남정맥(漢南正脈)의 주봉(主峰)이다. 한남정맥은 경기수부지역인 수원을 비롯한 용인, 광주, 과천, 안양, 의왕, 부천, 시흥, 김포, 화성, 오산, 평택, 안성 등 경기남부권 일원을 포용하면서 한강수계와 서해수계의 분수령을 이룬 경기산하의 모체라 할 수 있다. 한양에 경기도 행정의 본산인 관찰부와 도청이 자리하고 있을 때인 조선왕조 이래 1960대는 삼각산이 경기도의 진산(鎭山)으로 자리를 지켰으나 이제는 광교산이 경기도의 진산이 되어야 하는 이유가 충분히 있다. 광교산이 백두대간 한남정맥의 주봉으로 해발 582m인 경기 중부권 산하의 상징이자 물줄기의 근원을 이루는 발원처이기도 하지만 경기 중부권의 주산으로 나라의 고난과 함께 해온 산이기 때문이..

여행이야기 2021.02.07

걷기-동네한바뀌(2021.02.05)

걷기-동네한바뀌 거리: 9.17km 시간: 2:17:13 동행: 홀로 요즘 회삿일이 바빠 늦게끝나 운동을 못했다. 오늘 쉬는 평일, 늦잠을 자고 일어나 와이프랑 마트에가서 장을 보고 왔다. 어제 눈이 와서 산에는 질퍽거리거나 음지에는 눈이 그대로 있을 것 같아 동네한바뀌 가볍게 돌았다. 시흥요금소 버스정류장가는 길를 미리 알아놓을려고 가보았다. 상행과 하행을 모두 확인했다. 그런데 덕정역가는 8906번 버스가 보인다. 칠봉산-천보산 연계산행을 하려면 덕정역에서 53-5번 버스를 타고 봉양사거리(봉양1동)에서 하차하면 칠봉산 들머리가 나오는데 덕정역까지 가는 시간이 만만치가 않다.(전철만 2시간정도 소요) 광역버스(8906)를 타면 시간이 조금 단축될것 같다. 노선을 확인하고, 배차시간을 확인해보니(1시간..

마라톤이야기 2021.02.05

칠장산-칠현산-덕성산(2021.01.31)

칠장산-칠현산-덕성산 칠장산 칠장산(七長山)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금광면·삼죽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가 492m이다. 산기슭에 있는 칠장사와 칠장사 주변의 울창한 숲으로 유명하고 칠현산(516.2m) · 덕성산(519m)과 더불어 웅장한 산세를 이룬다. 정상에서 칠현산쪽으로 내려오면 세개의 ‘정맥분기점’이라 새겨진 이정표가 있다. 금북정맥은 칠장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의 서북쪽을 지나는 산줄기로 충남을 가로질러 예산의 가야산을 지나 태안반도의 안흥진으로 이어지는 정맥이다. 한남정맥은 칠장산에서 시작하여 도덕산과 함박산으로 이어지는 13정맥의 하나이다. 또한 칠현산은 한남금북정맥의 끝나는 지점이기에 한남금북정맥에 속한다. 그리고 칠장산은 금북정맥과 한남정맥이 시작되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칠현산 경기도 안..

여행이야기 2021.01.31

우리모두 건강하게 살아보세(2021.01.30)

우리모두 건강하게 살아보세 한 분이 말씀하셨다. '가진건 몸밖에 없으니 몸이라도 건강 해야지' '건강하면 뭘해도 할 수 있으니까, 건강 해야지' 우리내 모두가 다 같은 사정이다. 우리가 무엇을 더 가졌고 덜 가졌는가? 몸뚱이 하나말고 또 무엇이 내것이란 말인가? 또 가진것이 많은들 건강을 잃은 후엔 무슨소용이 있는가? 건강하고 볼일이다. 건강하게 살려면 건강을 지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우리모두 건강하게 살아보세.

자작시 2021.01.30

인천대공원 평상주-14.4km(2021.01.30)

인천대공원 평상주-14.4km 2021년01월30일 토요일 날씨: 흐림(먹구름 많음,잠깐 눈) 기온-3도 거리: 14.4km 시간: 01:36:18 아침에 눈발이 날려 대공원에 나갈까 아니면 헬스장으로 갈까 망설였다. 빨래를 돌리고 있는데 또 빨래거리를 만든다고 할까 신경이 쓰인다. 하지만 그냥 대공원행을 선택했다. 눈도 그치고 기온도 춥지않을 것 같다. 대공원 후문에 도착하니 도로변 주차공간에 차가 몇대없다. 다른때같아선 이시간이면 차가 많았었는데... 뛰는 사람도 보이지않는다. 오늘 토요일 맞나? 맞는데!!! 운동채비를 하고 나갔다. 썰렁한 느낌, 어제 내린 눈이 쌓여 있다. 준비운동을 하고 뛰기를 시작한다. 춥다. 허리가 묵직하다. 얼마를 달리니 배에서 소식이 온다. 중간화장실은 공사중, 정문화장실..

마라톤이야기 2021.01.30

노간주나무

노간주나무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의 소교목. 우리 나라 각처의 산지에 흔한 송백류식물의 일종이다. 잎은 바늘꼴이며, 꽃은 암수 한그루에 붙고, 열매는 검은 자주색으로 된다. 학명 Juniperus rigida S. et Z. 생물학적 분류 측백나무과 정의 :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의 소교목. 내용 :학명은 Juniperus rigida S. et Z.이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흔한 송백류식물(松柏類植物)의 일종이다. 잎은 바늘꼴이며 한 마디에서 3개씩 돌려나고, 꽃은 암수 한 그루에 붙으며 암꽃송이와 숫꽃송이는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붙는다. 열매는 육질로 된 구과(毬果: 방울열매)이며 검은 자주색으로 된다. 종자에서는 두송자유(杜松子油)를 짜서 약용 또는 등화용으로 썼던 때도 있었다. 생약명 ..

꽃 이야기 2021.01.27

노각나무

노각나무 차나무과의 낙엽수인 노각나무는 우리나라 남부자방에서 자생하며 외국으로는 일본에 일부분 자생한다. 그 중에 우리나라 품종이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일본에 있는 노각나무보다는 잎과 꽃자루가 길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식물학자 사이에서는 노각나무가 한국 토종 나무라고 알고 있다. 노각나무 이름의 유래로는 사슴뿔처럼 보드랍고 황금빛을 가진 아름다운 수피라는 뜻에서 녹각(鹿角)나무라고 하다가 발음이 쉬운 노각나무로 되었다. 높이는 15m까지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오래 되면 큰 조각으로 떨어져 얼룩이 생긴다. 배롱나무와 비슷하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형인데 윗부분은 뾰족하지만 아랫부분은 동그랗다. 또한 정원수나 관상수로도 많이 쓰이는데 이 나무가 우리 토종나무일 뿐만 아니라 수형과 낙엽이..

꽃 이야기 2021.01.27

세월 (2021.01.27)

세월 세월이 흐르면서 세월만 흐르는 것이 아니다 세상도 흐르고 자연도 흐르고 너도,나도 모두함께 흘러가는 것이다. 흐르는 것이 좋을 수도 있지만 나쁜 것들이 더 많으니 문제다 오늘은 어제보다 더 노화되어 하루의 수명이 줄어 들었다 이러다 어차피 가야 하고 와중에 세월은 흘러 가고 정녕 되돌릴 수는 없는 거고 허구헌날 울고 불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이를 어쩔꼬 언제 가든 사는 동안은 행복찾고 기쁨찾고 웃음찾고 보람을 찾아야겠다 먼저 간 사람들도 다 그러다 갔느니 2021.01.27

자작시 2021.01.27

소래산-거마산-성주산(2021.01.27)

蘇來山-距馬山-聖柱山 2021년01월27일 수요일. 쉬는 평일, 와이프가 장도 보고, 연근도 사러 가야된다고 했는데 아침에 일어나서 주방에나와 '아침에 일찍일어나면 소래산가려고 했는데...'라고 했더니 버럭 화를 내며 소래산가라고 큰소리를 낸다. 화를 내는 영문을 몰라 어리둥절하고 있으니 '나 때문에 못간것 처럼 얘기한다'고 화를 낸다. 기분이 상했느니 어쩌니 한다. 아침밥을 대충 먹고 씻고 나오니 옷를 차려입고 어디론가 갈 채비를 하고 있다. 뭔지 모르지만 상당히 예민해서 눈치만 보고 있어야 할 것 같다. 여자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화낼 일도 아니고 기분 나쁠 것도 없는 것 같은데 왜 그런지 알 수 가 없다.... 운동복을 갈아입고 소래산을 향했다. 쌀쌀한 바람이 분다. 왠지 요즘, 내심 우울하다...

여행이야기 2021.01.27

과천 청계산(2021.01.24)

과천청계산 서울대공원과 서울랜드, 국립현대미술관을 둘러싼 푸른 산자락이 바로 청계산이다. 서울 양재동과 과천시, 성남시,의왕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청계산은 관악산 산자락이 과천 시내를 에둘러 남쪽으로 뻗어내린 것이다. 산맥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서남쪽으로 뻗어나가 의왕시의 백운산, 모락산, 오봉산으로 이어진다. 청계산은 조선 태조 이성계에 의해 고려가 멸망하자, 고려말 충신이었던 조윤(趙胤)이 송도를 떠나 입산했던 곳이라고 전해진다. 청룡이 승천했던 곳이라고해서 청룡산으로 불리기도 하며 풍수지리학적으로는 관악산을 백호, 청계산을 청룡이라하여 '좌청룡 우백호'의 개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청계산은 울창한 숲과 아늑한 계곡, 공원, 사찰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가족산행의 명소로서 수 많은 등산로가 다양하..

여행이야기 2021.01.24

인천대공원 평상주(2021.01.23)

인천대공원 평상주-15.06km 2021년01월23일 날씨:흐림(구름많음: 4도~11도) 장소:인천대공원 거리: 15.06km 시간: 1시간39분 오랜만이다. 그동안 코로나19때문에 통제했다가 지난19일부터 개방했다. 어제 헬스장애서 운동을 하는데 계속 허리가 뻐근했었다. 자세가 안좋아서 초례한것은 아닌가하는 노파심에 계속 운동을 하면서도 허리를 곧게 펴고 했다. 헬스장이 문을 닫으니 상체운동을 마탕히 할 것이 없었다. 기껏해야 팔굽혀펴기다. 샤워를 할 수 없어서 넌닝을 조금만 하고 근력운동위주로 하고 있다. 운동량이 줄어든 것에 비해 생각보다 몸무게는 늘어나지 않았다. 요즘, 몸상태가 예전같지 않아 은근히 겁이난다. 얼굴를 자세히 살펴보니 피부도 많이 거칠어 졌고, 안면근육 움직임도 불균형으로 움직이는..

마라톤이야기 2021.01.23

소래산-성주산(2021.01.21)

소래산-성주산 2021년01월21일 목요일 날씨: 흐림 (0도/5도) 동행: 홀로 코스: 산림욕장-내원사방향-계란마을-850계단- 정상-성주산-성주산장군굿당-성주산둥지숲-성주산-소래산쉼터-산림욕장 거리: 15.55km 시간: 4시간42분 오늘은 회사 쉬는 날. 늦잠도 자고, 오후에 비가 온다고 했으니 오전에 소래산을 다녀와야겠다. 08시30분 집에서 나왔다. 잿빛하늘, 듬성듬성 파란하늘이 보인다. 코로나19 획진자 수기 400명대를 유지하고 있는 요즘이다. 차츰 줄어들면 산악회 2월산행도 고려해 봄직도 하다. 어디로 가야하나? 오늘코스는 똑같다. 성주산을 가는도중 소사동정지용시인골목이 궁금하여 잠깐 검색를 해보니 갈만한것 같아서 성주산에서 소사동으로 하산 하산을 하니 성주산장군굿당이 나온다. 소사본동 민..

여행이야기 202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