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cturne - Paul Brandenberg
장거리연습.
2017년09월03일(일요일)
오랜만에 일요일에 대공원엘 나와봤더니 역시 생동감 넘치는 분위기에 압도 당한다.
아쉬운 것은 여기저기 공사구간이 있어 조금은 불편함을 참아야 한다.
이제 조금씩 주말마다 거리도 늘려야한다.
주로 나무밑에는 요즘 맥문동이 한창 보라빛 꽃을 피여있어 눈이 즐겁다.
뛰다가 핸드폰으로 찍었다,
다 뛰고 다시갔더니 이미 해가 중천에 떠서 그림이 안나온다.
맥문동[Broadleaf Liriope, 麥門冬 ]
최근들어 아파트 정원이나 빌딩 주변에 많이 심는 식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군락을 이루면서 자라는데 여름에 작은 꽃들이 꽃대에 보라색 총총히 달려서 피어나고 겨울에는 시들지 않고 푸른색을 유지하기 때문에 정원화초로 인기가 높다.
명칭은 뿌리가 광맥(穬麥)과 비슷하기 때문에 맥문동(麥門冬)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한방에서는 중요한 약재로 사용된다.
문(門)자 대신 차조(虋 :찰기가 있는 조)자를 써서 맥문동(麥虋冬)이라고도 하는데, 뿌리가 보리와 비슷하고 잎은 차조와 비슷하며 겨울에 얼어 죽지 않고 살아남기 때문이다.
구(韭)라는 명칭은 잎이 부추를 닮았기 때문이며, 겨울을 잘 견딘다하여 인동(忍冬)이라는 이름이 생기기도 하였다.
뿌리를 음식 대신 먹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여랑(餘粮)이라고도 하였다.
이 약은 약간 냄새가 나고 점착성이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甘苦微寒]
맥문동은 진액을 보하는 대표적인 약으로 폐음손상으로 인한 마른기침, 각혈, 가래, 해수에 쓰며, 위음부족으로 인한 갈증, 소갈 및 변비에도 사용한다.
음혈 소상으로 가슴답답하고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불면증에 사용한다.
약리효과는 항산화작용, 혈류량촉진, 심장수축력증가, 진정, 면역증강, 혈당강하, 항균작용등이 보고되었다.
이 약은 방추형으로 한 쪽 끝은 뾰족하고 다른 쪽은 조금 둥글며 바깥면은 엷은 황색이고 크고 작은 세로주름이 있으며 피층은 부드럽고 무르고 약간 반투명하며 점착성이 있다.
중심주는 꺾기 어려울 정도로 딱딱하며 심을 제거하고 약으로 사용한다.
맥문동(麥門冬)의 이명으로 맥문동(麥虋冬), 계전초(階前草), 여동(麗冬), 마구(馬韭), 맥동(麥冬), 불사약(不死藥), 애구(愛韭), 양구(羊韭), 양기(羊耆), 우구(禹韭), 우여량(禹餘粮), 인동(忍冬), 인릉(忍凌), 문동(虋冬), 복루(僕垒), 수지(隨脂)라고도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맥문동 [麥門冬] (두산백과)
'마라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거리주(2017.09.23) (0) | 2017.09.23 |
---|---|
가을바람부는 토요일아침(2017.09.09) (0) | 2017.09.09 |
놀며 쉬며 평상주(2017.08.12) (0) | 2017.08.12 |
시흥 갯골생태공원(2017.07.29) (0) | 2017.07.29 |
시흥갯골생태공원(2017.07.08) (0) | 2017.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