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이야기

산사나무

털보나그네 2017. 8. 19. 19:24


Romance Of The North Sea - Sounds Orchestral
 

 

 

 

 

산사나무

[Chinese hawthorn, オオサンザシ, ]

 

학명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장미과(Rosaceae)
이칭 아가외나무

 

 

 

 

한자명 (산사)는 산에서 나는 풀명자나무(, 사)라는 의미인데, 기실은 풀명자 종류(Chaenomeles spp.)도 사과 종류(Malus spp.)도 아니다. 속명이 다르다. 속명 크라테구스(Crataegus)는 단단한 목재라는 희랍어에서 유래하고, 종소명 핀나티피다(pinnatifida)는 잎이 날개처럼 날개모양()으로 찢어진 모양()에서 유래한다.

한글명 산사나무
는 한자()에서 유래하며, 19세기 『물명고()』에는 우리말 아가외로 또렷하게 기록되었다. 형태적 설명도 산사나무의 열매를 묘사했고, (계매)란 명칭도 함께 기록했다. (계매)의 계()는 두레박틀 (계) 자로, 두레박을 매단 가름대를 의미한다. 산사나무의 단단한 목질 때문에 전통적으로 그렇게 이용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런데 이 아가외란 한글은 16세기 초 『훈몽자회()』
에서 아가외 (당), 아가외 톄(, 체)로 기록했다. 오늘날 전자는 팥배나무나 해당화를 후자는 산앵두나무로 번역한다. 하지만 두레박틀 (계) 자에 대응하는 이름은 산앵두나무 아니면 산사나무다. 팥배나무나 해당화는 사람의 손길로부터 멀리 떨어진 높은 산이나 해변 모래사장에 자생하기 때문이다. 산앵두나무나 산사나무는 동네 마을 근처 야산에서 만날 수 있는 종이다.

그런데 산앵두(, 앵도)나무는 벚나무 종류(Prunus spp.)이기 때문에 열매인 버찌가 산사나무 열매와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작다. 결국 산사나무가 아가외 또는 아가외나무다. 아가외는 아가(아기)와 참외의 ‘외’가 합성된 명칭으로 열매가 아기처럼 작다는 의미다. 하루아침에 생겨난 이름이 아니며, 무려 500여 년 전 민초들도 그 용도를 다 알고 있었던 생활 속의
자원식물이었다.

 

산사나무는 일본에서는 야생하지 않으며, 한반도를 중심으로 그 북쪽에 사는 전형적인 대륙형 요소다. 북한에서는 가시가 있고, 잎에 광택이 있어서인지 찔광나무라고도 하고, 여전히 아가위나무라고도 부른다. 중국 동북부지방에서는 산사나무 열매를 탕후루(, 당호호)라는 설탕을 곁들인 달콤한 겨울 후식이나 스낵으로 만들어 먹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산사나무 열매는 피부암에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산사나무는 장미과 식물 종류가 다 그렇듯이 곤충들에게 중요한 밀원 식물이다. 어른 엄지손가락 굵기가 되는 산사나무 열매는 야생 조류나 포유류에게 더없이 훌륭한 양식이 된다. 키가 적당히 크는 수형()이나 잎과 꽃이 우거지고 줄기에 가시가 있는 형태, 그리고 많은 야생동물을 부양하는 생태성 등은 자원식물로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애틀랜틱 해양성기후인 중부유럽의 공원이나 가로변에는 유럽산사나무라고 할 수 있는 산사나무 종류가 흔하다. 도심 공원에 야생동물과 식물 그리고 사람이 어우러질 수 있는 지혜로운 선택이다. 산사나무 종류는 건조에 매우 취약한 편이다. 토양과 공기 중의 분환경을 유지한다면, 훌륭한 조경식물자원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사나무 [Chinese hawthorn, オオサンザシ, 山楂]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자연과생태)

 

 

 

 

 

원산지 한국
분포지 한국, 일본, 중국
꽃말 유일한 사랑


 

수고 6m이고 줄기는 전체적으로 회색을 띠며 가시가 있는 어린 줄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5~10cm의 넓은 달걀모양, 삼각형 달걀모양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은 더 많이 갈라진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뾰족하고 거치가 있고 잎자루의 길이는 2~6cm이다. 꽃은 5월에 흰색 산방화서로 피며 꽃잎은 5개이고 둥근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은 5개이다. 수술은 20개이며 꽃밥은 붉은색이고 암술대는 3∼5개이다. 열매는 이과로 9~10월에 붉은색 또는 노란색으로 익으며 너비 1.5cm의 둥근 모양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사나무 [Large Chinese Hawthorn]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

 

 

 

 

생장

 

산사나무는 일조량이 풍부한 지역을 선호하며 음지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는 나무이다. 나무의 높이는 3∼6m이며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에 가까우며 길이 6∼8cm, 폭 5∼6cm이다. 가장자리가 깃처럼 갈라지고 밑부분은 더욱 깊게 갈라진다. 양면 맥 위에 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길이는 약 2∼6cm이다. 산사나무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고 산방꽃차례 달린다.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조각과 더불어 5개씩 있다. 수술은 20개, 암술대는 3∼5개, 꽃밥은 붉은색이다. 열매는 사과모양을 띠는 이과()로 둥글고 흰 반점이 있다. 지름 약 1.5cm이고 9∼10월에 붉은빛으로 익으며 개당 3~5개의 종자가 함유되어 있다.

 

종류

 

산사나무의 한 종에 해당하는 넓은잎산사(var. major)는 일반적인 산사나무보다 잎이 크고 얕게 갈라지며 열매 지름 약 2.5cm인 반면 좁은잎산사(var. psilosa)는 잎의 갈래조각이 좁다. 가새잎산사(var. partita)는 잎이 거의 깃꼴겹잎같이 갈라지고, 털산사(var. pubescens)는 잎의 뒷면과 작은꽃자루에 털이 빽빽이 나며, 자작잎산사(for. betulifolia)는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식재료

 

산사열매는 달콤하면서도 새콤한 맛이 있어 열매 자체를 간식처럼 섭취하는 것이 보통이며 그밖에 떡이나 과실주, 정과, 화채, 차, 주스 등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또한 육질이 질긴 노계를 삶을 때 산사열매를 첨가하면 육질이 연해지는 습성이 있어 백숙에 넣어 먹기도 한다. 또한 중국에서는 산사열매에 녹인 설탕물을 입혀 ‘탕후루(, 당호호)’라는 간식으로 즐겨 먹는다.

한방에서는 산사열매를 ‘산사자[]’라고 한다. 반으로 갈라 씨를 제거해 햇볕에 잘 말린 뒤 달여 먹으면 소화불량과 장염, 요통, 치질, 하복통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피로 해소, 면역력 개선, 감기 예방, 피부 미용 등에 효과적이며, 폴리페놀이 들어있어 항산화 작용, 노화 방지 등에도 도움을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사나무 [Chinese Hawthorn, 山査─] (두산백과)

 

 

 

 

'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절초 이야기.  (0) 2017.09.30
소래산 산책(2017.08.27)  (0) 2017.08.27
우산나물(2017.07.22)  (0) 2017.07.23
좁쌀풀꽃(2017.07.22)  (0) 2017.07.23
달맞이꽃,루드베키아(2017.07.01)  (0) 2017.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