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래산 나들이.
2010년12월19일.
따듯한 일요일를 맞아 아침에 대공원에 나가 13km를 뛰는데 지난주 이리저리 사정이 있어 운동을 못했더니 몸이 무겁다.
음식 먹을 기회는 자주 생기는데 운동할 기회는 자꾸 줄어 들어 느는것은 뱃살밖에 없다.
오늘도 길게 장거리를 할 생각이였는데 힘이 딸려 못뛰겠다.
날씨는 따듯하여 온몸에 땀으로 범벅이 되여버렸다.
집에 돌아와 아침을 먹고 나니 와이프가 여기저기 전화를 해보더니 결국 나에게 산에 함께 가자고 한다.
다들 망년회하느라 늦게까지 모임에서 있다가 오늘은 정말 말 그대로 쉬는 날인가 보다.
와이프랑 함께 산으로 갔더니 따듯한 날씨가 곧 봄이라도 올듯 하다.
함께 두런두런 얘기를 나누며 늘 다니는 코스로 갔다.
올해는 새해 해돋이를 좀더 색다른 곳에서 보자고 하는데 계획데로 될런지 두고 볼 일이다.
<원조>느티나무집에서 막걸리 반되와 두부를 시켜 먹고 다시 가던길를 이어 내원사방향으로 간다.
거의 4시간 걸리는 코스다.
배경이 거의 똑같아 오늘은 사진대신 법정스님의 '물소리 바람소리' 중에서 일부를 옴겨본다.
사색-1
소욕 지족(小欲 知足)
적은 것으로 넉넉할 줄 알라.
소욕(小欲)이란 욕심이 많은 사람은 이익을 구함이 많기때문에 고뇌도 많다.그러나 욕심이 적은 사람은 구하는 것이 없기때문에 근심걱정이 적다(여기서 欲이란 오욕 즉 탐욕,성욕,식욕,수면욕,명예욕을 말하는 것이다.)
만족할 줄 모르는 사람은 부유한 것 같지만 사실은 가난하고,만족 할 줄 아는 사람은 가난한것 같지만 사실은 부유하다.
이것을 지족(知足)이라고 한다.
옛날같으면 좀 깁거나 때우거나 고치면 말짱한 물건도 아낌없이 내다버린다.물건만 버리는 게 아니라 아끼고 소중하게 아는 그 정신까지도 함께 버리고 있는 것이다.
과거의 우리들은 적게 가지고도 지혜롭고 덕스러웠는데 현재의 우리들은 많이 갖고도 지혜롭지도 덕스럽지도 못하다.
지혜와 덕이란 우연히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하루하루 살아 가면서 닦고 쌓아야 하는 것인데 그럴 줄 모르기 때문에 인간의 영역이 날이 갈 수록 시들고 있는 것이다.마음을 닦는 일은 간절한 정신으로 깨어 있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석가모니의 마지막 설법이 수록된 ‘유교경’을 보면 불교 수행자가 성취해야 할 8가지 덕목인 ‘팔대인각’이 나온다. 첫째는 ‘소욕(小欲·탐내지 않는 것)’이고, 마지막은 ‘지족(知足·만족함을 아는 것)’이다. 이는 우리에게 큰 교훈을 준다. 스스로 만족함을 알아 탐내지 않는다면 투기 열풍과 같은 부질없는 일에 휩쓸려 고통 받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유교경의 ‘지족’에 근거하여 불교에서는 ‘오유지족(吾唯知足·나는 만족함을 안다)’이라는 말을 쓴다. 우리도 ‘오유지족 하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 보자.
Temple Of The King
Rainbow
1974년 "리치 블랙모어" 와 보컬리스트
"로니 제임스 디오" 가 의기투합해 만든 영국의 하드락밴드
"레인보우"의 `75년 앨범 Ritchie Blackmore's Rainbow에수록된 곡이다.
"레인보우"는 하드록/헤비메틀을 빛낸 주옥같은 작품들을
발표한 것 뿐만아니라, 많은 쟁쟁한 뮤지션을 길러낸
락음악계의 요람이라고 할 수 있다.
헤비메틀이 80년대이후 점점 쇠락해 90년대엔 "얼터내티브"란 이름에
완전히 밀려나게 되었지만 한 시대를 대표했던 거장들에 대한 향수는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남아 있다.
One day in the year of the fox
|
여우의 해 어느 날의
|
'여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창산악회 소래산가기(1/9)She`s Gone. - Black Sabbath (0) | 2011.01.09 |
---|---|
소래산의 일몰(2011.1/2)/The End Of The World - Skeeter Davis (0) | 2011.01.02 |
소래산 둘레길를 홀로 걷기(12/11).-The Letter To Chopin / Anna German (0) | 2010.12.11 |
동창부부산악회 청계산가기(12/5). Robin Spielberg / Remembering You (0) | 2010.12.08 |
늦은 가을 북한산 숨은벽코스가기(11/20). (0) | 2010.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