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신라는 어떤 나라인가?(4)

털보나그네 2009. 12. 5. 05:45

 

 

 

신라는 어떤 나라인가?(4)

 

 

 

2009년12월5일.

 

탈해왕(脫解王)

신라 제4대 왕(재위 57-80) 탈해이사금(脫解泥師今)이라고도 부른다. 성은 석(昔)씨 남해왕(南解王)의 사위, 비는 아효부인(阿孝夫人), 일명은 토해(吐解),탈해왕은 본래다파나국(多婆那國)출생으로 그나라는 일본의 동북 천리(千里)되는 곳에 있었던바 그곳 왕이 여인국(女人國)의 왕녀를 아내로 맞았는데 임신한지 7년만에 큰 알을 하나 낳으니 왕이 좋지못한 일이라 하여 버리게 했다. 왕녀는 비단에 싸서 궤짝 속에 넣어 물에 뛰우매 이것이 진한(辰韓) 아진포(阿珍浦)에 이르렀는데 한 노파가 건져보니 옥동자가 나와 데려다 길렀다.

 

키가 9척이나 되고 용모가 뛰어났고 유달리 지식이 출중하였다. 성명을 알길없어 궤짝을 건질때 까치가 울었다 하여 까치작(鵲)에 한쪽을 떼어 석(昔)씨라 하고 알에서 나왔다하여 탈해(脫解)라고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그런데 남해왕(南解王)이 탈해가 현명하다는 말을 듣고 사위로 삼았고 대보(大輔)벼슬을 주어 정사를 맡겼다.

 

유리왕이 죽을때 선왕의 유언대로 연장자 되는 탈해에게 뒤를 잇게 하니 이가 석씨 왕조의 시조다. 

탈해가 왕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남해차차웅의 사위이므로 결국 박씨집단(朴氏集團)의 일원이라는 동속개념(同屬槪念)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또 철을 이용한 군사력 및 거기에 따르는 실질적인 정치실력파의 등장으로 박씨족과 석씨족이 연맹함으로써 왕실세력의 폭을 넓혔다고 본다.

 58년 호공을 대보로 삼고, 64년 백제군이 와산(蛙山)·구양(狗壤)의 두 성을 비롯해 이 후 4, 5회 공격해왔다.

 

65년(삼국유사에는 60년)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나무에 걸려 있고 그 아래 흰 닭이 있어, 궤를 열어보자 용모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으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왕은 시림을 계림(鷄林)이라 고치고 국호로 삼았다. 67년 박씨의
인척(姻戚)으로서 주·군(州郡)을 나누어 다스리게 하고 주주(州主)·군주(郡主)라 이름하였다. 77년에는 가야의 군사와 황산진(黃山津)에서 싸웠다

 

거도 장군은 탈해왕때 활약했던 인물이다. 거도 장군은 국경에 우시산국과 거칠산국(居漆山國 : 지금의 부산 동래)이 접해있는 것을 우려하다가 매년 벌어지던 말 타기 놀이를 가장해 기습을 펼치는 전술로 두 나라를 복속시켰다.

이후 우시산(于尸山)을‘우화(于火)’라 불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에도 시대에 그려진 조선 통신사들의 마상재 시연 그림.

사진속의 기술은 '등리장신'이라는 마상기예의 하나다.>

 

신라 제5대왕 파사 이사금(재위80~112)성은 박씨로 유리왕의 둘째 아들이다(혹은 유리왕의 아우인 내로의 아들)

신라 제6대왕 지마 이사금(재위112년~134년)파사왕의 장남이다.

신라 제7대왕 일성 이사금(재위134년~154년)유리 이사금의 맏아들이다.(일지 갈문왕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신라 제8대왕 아달라 이사금(재위154년~184년)일성 이사금의 맏아들이다.

신라 제9대왕 벌휴 이사금(재위184년~195년)성은 석씨, 탈해왕의 손자이자 각간 구추의 아들발휘왕이라고도 한다.아달라 이사금이 자식이 없어 박씨 왕조가 일시적으로 끊기고 석씨에게 왕위가 다시 돌아갔다.

신라 제10대왕 내해이사금(재위195~230)벌휴왕의 손자이다.벌휴 이사금의 태자인 골정과 이매가 일찍 죽었고 골정의 아들이 어리므로 이매의 아들 내해가 왕이 되었다.

신라 제11대왕 조분 이사금(재위230~247년)벌휴의 손자이자 골정의 아들이며 제귀왕이라고도한다.선왕인 내해 이사금의 유언으로 사위 조분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신라 제12대왕 첨해 이사금(재위247~261년)벌휴왕의 손자이자 골정의 둘째 아들,조분이사금의 친동생이다. 조분왕이 후사가 없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신라 제13대왕 미추 이사금(재위262년~284년)김알지의 6대손이자 구도의 아들이며 미조,미소라고도 한다.임금이 된 첫 김씨이며 조분왕의 사위로 대신들의 추대로 즉위하였다.

신라 제14대왕 유례 이사금(재위284년~298년)성은 석씨로 조분이사금의 맏아들이다.

신라 제15대왕 기림 이사금(재위298년~310년)조분 이사금의 손자이며 이찬 걸숙의 아들이다.

신라 제16대왕 홀해 이사금(재위310~356년)성은 석씨,내해 이사금의 손자이고 우로의 아들이다.기림 이사금이 아들 없이 죽자 왕으로 추대되었다.  

신라 제17대왕 내물 마립간(재위356년~402년)성은 김씨,각간 말구(미추이사금 동생)의 아들이고 나밀이라고도 한다.이 때부터 김씨에 의한 왕위가 세습되었으며 마립간이라는 왕의 칭호를 사용하였다.

신라 제18대왕 실성마립간(재위402년~417년)이찬 대서지의 아들로 실주왕,실금왕이라고도 한다.고구려에 볼모로 갔다가 401년 귀국,내물마립간이 죽자 태자가 어리무로 추대받아 즉위하였다.

신라 제19대왕 눌지마립간(재위417년~458년)성은 김씨,내물왕의 아들이다.내물 마립간392년실성을 고구려 볼모로 보냈는데 실성이 이에 한을 품고 내물의 아들 복호와 미사흔을 각각 고구려와 왜에 볼모로 보냈다. 그뒤 눌지를 살해하려 했으나 오히려 눌지가 실성왕을 제거하고 왕위에 올랐다.

신라 제20대왕 자비 마립간(재위458년~479년)눌지 마립간의 맏아들이며 실성 이사금의 외손자이다.

신라 제21대왕 소지 마립간(재위479년~500년)자비왕의 맏아들조지, 비처라고도 한다.

신라 제22대왕 지증 마립간(재위500년~514년)마립간 칭호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왕으로 휘는 지대로, 지도로, 지철로이다.

내물 마립간의 증손자, 소지 마립간의 재종 아우로 소지 마립간이 아들이 없이 죽어 64세에 왕위를 이었다.

신라 제23대왕 법흥왕(재위514년~540년)지증왕의 아들이고 이름은 원종이다.

신라 제24대왕 진흥왕(재위540년~576년)지증왕의 손자로 이름은 삼맥종, 심맥부이고 법호는 법운이다.

8세에 법흥왕의 양위로 왕이 되어 성년이 될 때까지 모친 식도부인이 섭정하였다.   

신라 제25대왕 진지왕(재위576년~579년)휘는 사륜, 금륜이다. 진흥왕의 둘째 아들이나 태자가 일찍 죽었기 때문에 대신 즉위했다. 백제와 불화하여 자주 침공을 받았으나, 내리서성 등을 쌓아 방비를 굳게 하였다. 상대등 거칠부에게 국정을 맡겼으며, 나라와 수교하여 화친을 도모하였다.

신라 제26대왕 진평왕(재위579년~632년)진흥왕의 장손으로 휘는 백정, 진평이다.태어나면서부터 얼굴이 기이하고 몸이 장대하였으며 의지가 깊고 식견이 명철하였다. 작은아버지인 진지왕이 화백회의에 의하여 폐위되자 즉위하였다.

신라 제27대왕 선덕여왕(재위632년~647년)진평왕의 장녀이며 휘는 덕만이다.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그녀를 새 왕으로 추대하여 성조황고라는 호를 올렸다. 선덕여왕은 백성을 사랑하였으며 민생 안정에 주력하여 가난한 이들을 보살피는 구휼정책을 활발히 추진하였다.

또한 분황사, 영묘사 등 절을 많이 건립하고 불경을 연구시켜 불교의 일대 부흥을 가져왔다.

특히 웅대한 호국의 의지가 담긴 80m의 황룡사 9층석탑은 이웃의 9적을 물리쳐서 복속시키기 위해 나라 이름을 새겨넣은 것이며, 첨성대를 건립하여 농사에 도움이 되게 하였고 자장법사를 당에 보내어 불법을 수입하였다.

 

 

 

 이렇게 박,석,김씨는 불규칙적으로 그때 상항에 따라서 왕권을 잡고 통치를 하였고 왕족으로 정치에 직간접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며 신라를 지켜왔다.
특히 내물마립간이후부터 김씨 세습이 이어져 내려왔다.
이러는 동안 가야는 일본을 오가며 세력이 강해졌다 약해졌다하다 결국에는 신라에 복속되어 신라로 흡수되였다.
인도의 철기문화를 가지고 한반도 남부를 장악하며 세를 확장하며 성장하던 인도의타밀인들,장구한 역사속에서  그 흔적들은 융화되여 전해저 오고있다....
 

 

 

 ♬Wherever You Go (당신이 그 어느 곳에 가더라도)/ Frank Mills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추린 우리역사.-2  (0) 2010.03.01
간추린 우리역사.-1  (0) 2010.02.20
신라는 어떤 나라인가?(3)   (0) 2009.11.29
신라는 어떤 나라인가?(2)  (0) 2009.11.27
신라는 어떤 나라인가?(1)  (0) 2009.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