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불(lamp,燈).
불을 켜서 어둠을 밝히는 것을 등불이라고 한다.
부싯돌로 불꽃을 유발시켜 식물이나 동물의 기름을 태워 불을 밝혔던 원시시대의 등불이 인간사회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여와 그 진화가 거듭되여왔다.
수백만년에 걸쳐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인 불.
인류에 있어서 불은 생활의 변화뿐 아니라 자연광에 의존하던 인류에게 빛을 가져다 준 것이다.
인류의 가장 최초의 조명은 등불이다.
수세기를 지나오면서 등기름(쇠기름, 돼지기름, 정어리기름, 피마자기름 등)과 초가 만들어지면서 불은 좀 더 많은 공간에서 조명의 역활을 대신해 왔다.
그러다가 전류를 통하여 빛을 내는 전구가 발명되면서 등불의 새로운 발전이 시도되었다.
유리알속에 비활성 기체나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백열전구,네온전구,수은전구...등이 만들어 지면서 그진화의 속도는 더해갔다.
1802년 Davy가 탄소에 전류를 흘리면 빛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여, 파리의 콩코드 광장에서 2,000개의 전지로 탄소아크가로등을 점등한 것이 전등의 역사적 출현이었다.
그런데 탄소아크등은 불똥이 튀고 탄소봉이 자주 닳아서 새 것을 갈아 넣어야 하고, 빛이 너무 강해서 눈이 쉽게 피로해지므로 부드러운 전등의 출현이 요망되었다.
백열등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79년 에디슨이 면사를 탄화시켜 만든 진공전구였으며, 그 때는 카본 램프로서 카본 필라멘트로 사용하였어나 카본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빛의 양도 적었고 수명도 짧았었다.
1910년 텅스텐 필라멘트의 발명으로 텅스텐 램프가 만들어지면서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 후 수은증기 중의 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 수은등의 출현과 나트륨증기 중의 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 나트륨등이 개발로 조명의 발전은 급격하게 변화 되어 왔다.
1938년 미국의 GE의 Inman이 현재 세계적으로 수요가 많은 고효율의 형광등이 출현되었다.
그리고, 20년 후에 연색성과 효율이 좋은 수은등의 개량형인 매탈할라이드등이 개발되었고, 연색성이 다소개선된 고압나트륨등이, 수명이 길고 일정광도가 수명시간중 유지되는 전구인 할로겐전구 등이 속속 출현되어, 연색성과 효율등이 우수한 전등이 출현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있어왔던 것과는 다른 새로운 차원의 등이 발명되였는데 이것이 발광다이오드(LED)의 등장이다.
지금까지는 빛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열이 발생하여 효율이 떨어졌고 과열로인한 사고도 생기기도 한다. 이에반해 LED(light emitting diode)는 20%의 전류만으로도 더밝은 빛만을 얻어낼수 있고 수명도 반영구적으로 그효율이 뛰여나 한차원 높은 개념의 등불이라고 할수있다.
LED는 1923년 탄화규소 결정의 발광 관측에서 비롯된다. 1923년에 비소화갈륨 p-n 접합에서의 고발광효율이 발견되면서부터 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1960년대 말에는 이들이 실용화되기에 이르렀다.하지만 처음 설치비가 많아 호응을 얻지 못하다가 최근에 급속도로 번져가고 이를 응용하여 안쓰이는 곳이 없이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쓰이고 있다.
등불은 인류가 생긴이래 밤을 밝히는 역활이외로 또다른 역활로 진화되어가고 있고 앞으로 또 어떤형태의것이 탄생할지 기대가 된다.
영사운드 - 등불
그대 슬픈 밤에는 등불을 켜요
고요히 타오르는 장미의 눈~물
하얀 외로움에 그대 불을 밝히고
회상의 먼바다에 그대 배~를 띄워요
창가에 홀로앉아 등불을 켜면
살며시 피어나는 무지개 추~억
정답게 피어나는 밀감빛 안개
황홀한 그리움에 그대 불을 밝히고
회상의 종소리를 그대 들~어보아요
창가에 홀로앉아 등불을 켜~면
조용히 들려오는
님의 목소리
님의 목소리
님의 목소리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디언 족(6/16) (0) | 2009.06.16 |
---|---|
위구르족의 분노. (0) | 2009.05.30 |
고인돌. (0) | 2009.02.18 |
돈돌라리. (0) | 2008.12.14 |
소래포구(11/8) (0) | 2008.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