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e - Gontiti
장거리주-17.5km
2018년09월29일.토요일.
중국여행동안 일주일를 그대로 먹고 자고만 했다가 엇그제부터 헬스를 하니 온몸이 무겁다.
오늘아침도 일어나기싫은 걸 억지로 일어나 대공원엘 나왔다.
오늘도 얼마를 뛰여야 할 지 모르겠다.
10월7일 장거리마지막 연습주 풀코스를 뛰여야하는데,,,
적당히 뛸 수 있을 만큼만 뛰자...
이제 제법선선한 바람이 불어온다.
이제 운동하기에도 좋은 날씨니 열심히 운동을 해야겠다...
발목과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슈즈 끈 제대로 묶기 마라톤을 하거나 철인3종 종목 중, 런을 하면서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긴 거리를 달려서 발생하는 것보다 여러가지 다른 문제들로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몸을 보호할 수 있는 러닝팁 중, 슈즈 끈을 묶는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리 신체에서 움직이는 부위라면 어느 부위든 수축과 이완 운동을 하게 되며 발도 마찬가지로 수축,이완운동을 하고 있습니다.발의 움직임에 있어서, 사소해 보일 수 있는 끈을 묶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발이 보호되거나 상하게 된다면 결코 사소하게 볼 수 없습니다. 실제 슈즈를 벗고, 맨발로 지면을 딛게 되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위 사진과 달리 발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발볼의 폭에서 확실한 차이를 볼 수 있듯이 체중을 실어서 슈즈 끈을 묶는다면 발을 제대로 고정할 수 없게 되어 러닝 시, 발에 가해지는 데미지는 커질 것입니다. 바닥에 확실하게 앉은 상태에서 발 뒤꿈치를 지면에 고정하고 슈즈 끈을 묶어줍니다.
슈즈 끈을 조이는 부위가 다르다. 아래에서 첫 번째 ~ 세 번째까지 약간 여유있게 묶어줍니다. 4번 째에서 6번 째 구멍까지는 발목과 가까운 발등을 잡아주는 부위로 발과 슈즈 사이에서 움직임이 없도록 만들어주는 부위이므로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타이트하게 묶어줍니다. 이 때, 4~6번 째 끈을 타이트하게 묶어서 발목과 슈즈 사이로 손가락이 쉽게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슈즈 끈을 조이고 나서 매듭을 지은 다음으로 나머지 끈을 고정하는 방법.
슈즈 끈을 묶는 방법 하나만으로도 우리의 몸을 보호할 수 있다면 한 번 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며 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이 없길 바라는 마음으로 슈즈 끈을 매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는 이것으로 줄이겠습니다.
우리가 활동하면서 가볍게 여겼던 슈즈 끈은 소중한 몸을 보호할 수 있는 비밀과 같은 장치였습니다.
먼저 슈즈 끈을 묶기 위해 어떤 자세를 취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무릎을 굽혀서 쪼그려 앉은 자세로 슈즈 끈을 묶거나 발을 구조물에 지지한 상태로 슈즈 끈을 묶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과연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자세인지 점검해봐야 합니다.
슈즈 끈을 묶을 때 구조물을 밟은 상태로 진행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서 중족골 부위는 확장되기 때문에 발 모양에 적합한 끈 조절을 할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상체를 숙인 상태에서 슈즈 끈을 묶게 되면 발에 압력이 가해져서 발 모양이 변형된 상태로 묶게 됩니다.
발 전체를 지면에 닿은 채로 체중을 실어서 압력을 가하게 되면 발폭이 좌,우로 확장됩니다.
이와 같은 자세로 끈을 묶게 되면 발바닥에 압력이 없어지는 동시에 발의 변형도 일어나지 않으며 자신의 발 형태를 유지하여 끈을 묶어 고정할 수 있습니다.
슈즈 끈을 살펴보면 발을 고정시켜 주는 구멍은 기본적으로 6개입니다.
간혹 5개 또는 7개로 이루어진 슈즈가 있으나 기준은 6개로 정하겠습니다.
이 부위는 발바닥이 지면에 착지했을 때 수축과 이완운동으로 확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만약 이부분을 강하게 조여 매게 되면 중족골을 중심으로 아치부위까지 수축,이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러닝 중에 중족골과 아치부위 통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슈즈 어퍼부위가 발에 맞지 않아 통증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으나 슈즈 끈 아래쪽을 너무 타이트하게 묶지 않았나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슈즈 끈을 타이트하게 매게 되면 저리는 증상으로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으나 재생능력이 없는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면 약간의 저리는 증상 정도는 적응해야 합니다.
끈의 매듭을 마무리하고 나서 러닝을 하는 중에 풀리는 경우가 있는데 신속하고 간단하게 끈처리를 하는 방법은 아래 사진과 같이 해보세요.
'마라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상주-13.5km(2018.10.20.) (0) | 2018.10.20 |
---|---|
제16회 국제평화마라톤대회-장거리연습주(2018.10.07) (0) | 2018.10.07 |
장거리주-25km(2018.09.07) (0) | 2018.09.08 |
장거리주-21km 소래습지생태공원(2018.09.01) (0) | 2018.09.01 |
평상주-15.4km(2018.08.25) (0) | 2018.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