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 바람에게 전하는 말 / 박강수
아서 아서 꽃이 떨어지면 슬퍼져
그냥 이 길을 지나가
진한 바람 나는 두려워 떨고 있어
이렇게 부탁할께
아서 아서 꽃이 떨어지면 외로워
그냥 이 길을 지나가
빗줄기는 너무 차가워 서러우니
그렇게 지나 가 줘
검은 비구름 어둠에 밀리면
나는 달빛을 사랑하지
이런 나의 마음을 헤아려 주오
맑은 하늘과 밝은 태양 아래
나를 숨쉬게 하여 주오
시간이 가기 전에
꽃은 지고 시간은 저 만큼 가네
작은 꽃씨를 남기고
길을 따라 시간을 맞이하고 싶어
바람을 기다리네
아침풍경-24.
2014년09월21일.
전남 영광 불갑사 꽃무룻 상사화 축제에 가려고 산악회 예약을 했는데 간밤에 친구로부터 부고메세지가 왔다.
장소는 이천 의료원에서 모친상이란다.
안가볼 수 없는 처지, 부랴부랴 산행을 취소하고 쌓았던 베낭도 다시 풀었다.
그리고 아침에 가까운 소래산으로 해서 인천대공원으로 산책에 나섰다.
소래산 초입에 밤나무밑에는 굵은 밤이 잔뜩 떨어져 있고,산에 들에 가을꽃들이 활짝 피여 아침을 맞고 있었다.
마애보살입상
※작살나무 열매.
우리이름은 작살나무이지만 중국이름,혹인 생약명은 '자주'(紫珠)즉 보라빛 구슬이다.
영어이름으로는 뷰티베리(BEAUTY BERRY)'아름다운 미인'.'아름다운 구슬'의 의미다.
학명의 속명 캐리카파(Callicarpa)는 그리스어로 '아름답다' 뜻의 캘로스(callos)와'구슬'이라는 뜻의 카로스(carpos)의 합성어다.
일본어 이름은 무라사끼시끼부(紫式部),11세기경에 씌어진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라는 유명한 고전소설 저자와 같은 이름.
불과25세에 과부가된 총명하고 아름다운 여인,일본인들이 아끼고 사랑한 그녀의 이름을 작살나무에 붙혔다.
한방에서는 '紫珠'(자주)라는 이름으로 어혈,장출혈,자궁출혈,호흡기감염증,편도선염을 치료하는 약재로 쓰인다.
※달맞이꽃.
남아메리카의 칠레가 원산지이며 한국 곳곳에서 귀화식물로 자란다. 꽃이 아침부터 저녁까지는 오므라들었다가 밤이 되면 활짝 벌어지기 때문에 밤에 달을 맞이하는 꽃이라고 해서 '달맞이꽃'이란 이름이 붙었다.
※미국쑥부쟁이.
만추
그 누구의 눈빛이
이렇게 뜨거워
가을산을 붉게 물들이나
그 누구의 그리움이
이렇게 사무쳐
가을산에 불을 지르나
그 눈빛으로
그 그리움으로
내 안에 가을그리움은
붉게 붉게만 타들어 가는데
-김 경훈-
※큰낭아초(물깜싸리)
/땅비싸리속/콩과/장미목/쌍떡잎식물강
콩과에 속하는 낭아초는 일명 ‘야괴수(野槐樹)’라고 하며 낙엽 반 관목으로 크기가 2m 전후에 줄기는 많이 갈라져 있다. 잎은 서로 어긋나 기수(奇數)의 새 날개깃 복엽에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 양면에 잔털이 덮여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작은 꽃들이 연한 홍색의 많은 꽃이 7~8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결실한다.
낭아초는 뿌리를 포함한 전목(全木)을 약용에 사용하는데 생약명은 일미약(一味藥)이라고 한다. 맛은 쓰고 약성은 따뜻하여 독성이 없는 생약으로 약효는 소염 어혈 해독 활혈(活血)의 효능이 있고 진해(鎭咳) 거담 천식 편도선염 임파선염 치질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옛날 민간약으로 타박상에 생뿌리를 짓찧어서 환부에 붙여서 치료했다고 전래되고 있다.
/약학박사·한국국제대학교 제약공학과 석좌교수
※유홍초.
코스모스의 꽃말
백색:소녀의 순결 , 적색:소녀의 순애
국화과의 1년초로서 멕시코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있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키는 1~2m로 자란다.
코스모스(Cosmos)라는 명칭은 그리스어의 코스모스(Kosmos/질서,조화)에서 유래된 것이다
신( 神)이 가장 먼저 습작으로 만든 꽃이 바로 코스모스라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가냘프고 어쩐지 흡족하지 못해 신(神)이 이렇게 저렇게 만들다 보니 종류도 다양해진 듯하다.
코스모스야말로 모든 꽃의 시조(始祖)인 셈이다.
우리나라에는 1910년대 외국 선교사에 의해 처음으로 씨앗이 파종되었는데, 순우리말로는 "살사리꽃" 이라 부른다.
※당귀
※개똥쑥.
※근대.
※수수.
※메꽃.
※조.
'여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왕산(2014.10.09) (0) | 2014.10.09 |
---|---|
설악산:한계령-대청봉-오색(2014.10.03)-4 (0) | 2014.10.04 |
화악산-화악리왕소나무에서 조무락골까지(2014.09.06) (0) | 2014.09.07 |
소래산 산책(2014.08.31) (0) | 2014.08.31 |
2014년 벌초. (0) | 201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