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04월21일
요즘 저온현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봄은 왔는데,꽃들은 피고 있는데...
추운 바람때문에 기온상승이 이루워 지지 않고있다.
어제는 산소가다가 갑작스런 눈벼락을 만났다.
4월하순에 접어드는 이때 눈이 왠 말인가...
지구온난화.
인류가 화석연료를 쓰기시작하면서 문제는 잉태하고 있었다.
이산화탄소(CO2).
화석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는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무독성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생물에 어떤 직접적인 해를 끼치지 않지만,
화석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대기중에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서 이산화탄소의 물리적 성질이 문제가 되고 있다.
즉,태양의 빛 가운데 단파장은 통과시키고 장파장은 잡아두는 물리적 성질이 온실의 유리지붕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이로 인해 지구의 사막화 확대, 해수면 상승, 생태계 변화 등의 부정적 효과가 유발된다.
온난화는 1972년 로마클럽 보고서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지적되었다.
이후 1985년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이 이산화탄소가 온난화의 주범임을 공식으로 선언하였다. 1988년에는 IPCC가 구성되어 기후 변화에 관한 조사와 연구를 행하고 있다.
1988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미국 의회에 지구온난화에 대한 발언을 한 것을 계기로 일반인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지구의 연평균기온은 원래 400년에서 500년 정도를 주기로 약 1.5℃의 범위에서 계속 변화한다.
15세기에서 19세기까지는 비교적 기온이 낮은 시기였으며, 20세기에 들어와서는 기온이 오르고 있어서, 어떤 면에서는 기온 상승이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산업혁명(1750~1900년경) 이후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은 1800년대에는 280ppm이었으나 1958년에는 315ppm, 2000년에는 367ppm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메탄(CH4)는 700에서 1,720ppbv(용적비 10억분의 1)로, N2O는 약 275에서 약 310ppbv로 다른 온실기체도 증가하고 있다.메탄(CH4) 및 아산화질소(N2O),수증기가 대표적인 온실기체다.
특히 현대에 사용하기 시작한 프레온가체는 한 분자당 온실효과를 가장 크게 일으킨다.
지구의 연평균기온이 계속 올라감으로써 땅이나 바다에 들어 있는 각종 기체가 대기 중에 더욱 많이 흘러나올 것이다.
이러한 피드백 효과는 온난화를 더욱 빠르게 진행시킬 것이다.
온난화에 의해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가하면서 평균강수량이 증가할 것이고 이는 홍수나 가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으로, 기온 상승에 따라 빙하가 녹으면서 이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2000년 7월 NASA는 지구온난화로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아내려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이 약 23cm 상승하였다고 발표했다.
그린란드의 빙하 두께는 매년 2m씩 얇아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1년에 500억톤 이상의 물이 바다로 흘러 해수면이 0.13mm씩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수면 상승은 섬이나 해안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특히 해안에 가까운 도시에는 대단히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북극곰이나 펭귄을 비롯한 여러 동물이나 식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겨울이 사라지고 사막이 생길 수 있으며 태풍과 가뭄 등 자연재해의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흔히 장수매라고 하지만 학명에는 명자꽃으로 찿아야 한다.
약명으로는 노자(擄子) 혹은" 白海棠"이고 애기씨나무" 청자"
산당화" 가시덕이" 처자화" 아가씨꽃나무" 장수매 등으로 불린다.
IPCC는 온난화에 의한 기후로의 지역적 및 정량적 영향에 관해서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기중의 CO2 농도가 산업혁명 전의 2배로 되었을 때 의 영향을 다음과 같이 예측하고 있다.
향후 100 년간 등온선의 이동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 건조지 및 반건조지의 수자원에 대한 영향의 가능성, 해충의 변화 또는 이상 기상의 증가에 의한 농산물 생산에 대한 영향, 해면 상승에 따른 연안지역이나 도서(島嶼)국가에 대한 조수간만의 영향 그리고 말라리아 발생지의 확대에 의한 건강에 대한 영향 등이 예상된다.
'허튼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2013.06.27.) (0) | 2013.06.29 |
---|---|
어제와 오늘 사이에 남긴 낙서 한조각.(2013.04.26~) (0) | 2013.04.27 |
추운 봄(2013.04.07.) (0) | 2013.04.07 |
겨울 그리고 봄.(2013.03.09) (0) | 2013.03.09 |
자동차 사고와 순환의 역사.(2013.01.13.) (0) | 201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