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악산의 들꽃들.
2009년5월4일
피나물.
홀아비꽃대.
양지꽃.
각시붓꽃.
노란 콩제비꽃?
큰구슬붕이.
큰구슬붕이 (Gentiana zollingeri Fawc.)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산과 들의 숲 속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5∼10cm이며 모가 난 줄과 잔 돌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12mm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밑 부분이 합쳐져서 짧은 잎집이 된다. 잎 가장자리는 두껍고 흰색이며 잔 돌기가 있고, 잎 뒷면은 흔히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다른 잎보다 작고 옆으로 퍼지지 않는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몇 개씩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길이가 5∼7mm이며 끝이 통 부분의 반까지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넓은 바소꼴이다. 화관은 종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 사이에 작은 부편이 있다. 꽃이 진 다음에도 화관은 떨어지지 않고 열매 표면에 남아 있다.
열매는 삭과이고 긴 자루가 있으며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석용담(石龍膽)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충수염·결핵성림프선염에 소염 효과가 있고, 종기·악창·안구 충혈에 사용한다.
동아시아 지역의 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비슷한 종인 구슬붕이(G. squarrosa)와 비교하면, 뿌리에서 나온 잎이 방석처럼 퍼지지 않고 줄기에 달린 잎보다 작으며 꽃받침 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 것이 다르다.
소형분재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잎과 뿌리 전초를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약효는 해열, 해독, 종기를 가시게하는데 효과가 있다.
산괴불주머니.
매화말발도리.
삿갓나물.
꿩의바람꽃.
현호색군락.
이팝나무꽃.
피나물군락.
곡명 : 바위섬 |
파도가
부서지는 바위섬
인적없던 이곳에
세상사람들 하나둘 모여들더니
어느 밤
폭풍우에 휘말려
모두 사라지고
아는 것은 바위섬과 흰 파도라네
바위섬
너는 내가 미워도
나는 너를 너무 사랑해
다시 태어나지
못해도 너를 사랑해
이제는 갈매기도 떠나고
아무도 없지만 나는 이 곳 바위섬에
살고싶어라
바위섬
너는 내가 미워도
나는 너를 너무 사랑해
다시 태어나지
못해도 너를 사랑해
이제는
갈매기도 떠나고
아무도 없지만
나는 이 곳 바위섬에
살고 싶어라
'추억으로 남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교동창 모임.(5/31) (0) | 2009.06.01 |
---|---|
빗방울(5/17) (0) | 2009.05.17 |
부처님오신날.(5/2) (0) | 2009.05.02 |
비둘기공원의 봄.(4/11) (0) | 2009.04.12 |
소금창고 (0) | 200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