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정월대보름날
2021년 2월 26일(금)
음력 정월 보름,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 명절의 하나.
음력 새해의 첫 보름날을 뜻하며, 전통적인 농경사회였던 한국에서는 마을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해 농사의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는 날이었다.
<삼국유사>에 대보름에 대한 첫 기록이 남아 있으나, 그 이전부터도 대보름은 한국의 중요한 절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정월대보름날에는 오곡밥, 매생이국, 호박나물, 시래기나물,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취나물, 토란대나물, 부럼, 조기구이등의 음식을 차려먹었고, 부럼음식으로는 땅콩, 호두, 잣, 밤 등의 견과류로 겨울철 부족했던 영양분을 보충했다.
풍년과 복을 비는 행사로 볏가릿대세우기, 용알뜨기, 놋다리 밟기 등이 있고, 놀이풍습으로는 지신밟기, 용궁맞이, 쥐불놀이, 사자놀이, 줄다리기, 차전놀이 등이 있다.
정월대보름날은 한마디로 말하면 1년중 달이 제일 큰 날을 기해 풍년과 무사태평 그리고 무병 무탈를 비는 날이다.
농삿일이 주였던 농한기를 맞아 정월 초하룻날 설 명절행사와 놀이가 보름날까지 이어져 동네곳곳에 모여서 즐겼다.
이제 이런 세시풍습들은 사라지고 더더욱 요즘은 코로나19로 인해 공공단체등에서 계획했던 행사마저 모두취소되었다.
그동안 부족한 운동을 채우기위해 아침산행을 하기로 했다.
이제 기온이 많이 올라 가벼운 운동복차림으로 집을 나선다.
바람이 불어 생각보다 쌀쌀한 느낌이지만 움직이면 바람마져 차갑지않고 시원해진다.
해가 뜨고 얼마간은 땅이 굳은 상태지만 해가 중천으로 가면 땅이 녹아 질퍽해진다.
땅이 녹기전에 산을 내려와야 질퍽한 길를 피할 수 있다.
하산을 마치고 집앞에서 와이프를 만났다.
함께 올갱이 해장국을 먹으러 갔다가 삼미시장에 들려서 오곡밥과 나물류를 샀다.
요즘은 편리한 세상이라서 집에서 직접 하지않아도 재례시장에 가면 반찬가게에서 찰밥,오곡밥,나물류들를 맞처서 다 말들어 놓고 크고작은 용기에 담아놓고 판다.
집에서 만든것보다 더 잘 만들어놓고 파니 용도에 맞게 구미에 맞게 돈을 주고 사오면 된다.
관악산방향
수리산 슬기봉방향
인천 송도방향
바람에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서울방향-북한산
청설모의 아침식사시간
바람
바람은
형체도 없이
정처도 없이
허공을 떠돌다가 사라지고
그 존재의 의미조차 무색한 바람이지만
알고보면 바람에게도
그 출처와 경로에따라 그 종류도 많다.
부드럽게 부는 실바람,
나뭇잎이 남실남실 남실바람,
산들산들 산들바람,
선들선들 선들바람,
작은 물결을 일으키는 흔들바람,
이른 봄 꽃이 필 무렵에 불어오는 쌀쌀한 꽃샘바람,
가을에 으스스하고 쓸쓸하게 부는 소슬바람,
살을 에는 듯 몹시 찬 고추바람,
바다에서 뭍으로 부는 갯바람,
서쪽에서 불어오는 하늬바람,
북쪽에서 빠르고 쎄게 부는 된바람,
동쪽에서 부는 샛바람,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높새바람,
남쪽에서 불어오는 마파람,
방향 없이 이리저리 함부로 부는 왜바람,
'여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명 구름산 종주산행(2021.03.05) (0) | 2021.03.05 |
---|---|
화성 입파도 立波島(2021.02.28) (0) | 2021.02.28 |
수리산 변산바람꽃(2021.02.21) (0) | 2021.02.21 |
수원 광교산(2021.02.13) (0) | 2021.02.13 |
칠봉산-천보산(2021.02.11) (0) | 2021.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