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자랑하는 톱 첼리스트 마사시 아베는 정통 클래식은 물론이고
대중음악과의 교류를 통해서 다양한 음악 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마사시 아베(Masashi Abe)와 다섯 명의 첼리스트에 의한 앙상블.
그 다섯 사람을 중심으로 콘트라베이스(Contrabass)와 플룻(Fluet),
클라리넷(Clarinet)등의 뮤지션을 게스트로 맞이하여 뛰어난 화음을 선보이고 있다.
Masashi Abe - Fly to the Sky
절기이야기-입하 [立夏]
2014년05월05일.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양력으로 5월 6일 무렵이고 음력으로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에 이르렀을 때이다. 입하(立夏)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들어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하며, ‘초여름’이란 뜻으로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고도 부른다.
내용
이때가 되면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또 마당에는 지렁이들이 꿈틀거리고, 밭에는 참외꽃이 피기 시작한다. 그리고 묘판에는 볍씨의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고, 밭의 보리이삭들이 패기 시작한다. 집안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한창이고, 논밭에는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가 자라서 풀뽑기에 부산해진다.
속담
옛날 재래종 벼로 이모작을 하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한창 못자리를 하므로 바람이 불면 씨나락이 몰리게 되는데, 이때 못자리 물을 빼서 피해를 방지하라는 뜻으로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는 말이 있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목화가 풍년 든다는 뜻으로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는 말도 있다. 입하가 다가오면 모심기가 시작되므로 농가에서는 들로 써레를 싣고 나온다는 뜻으로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라는 말도 있다. 재래종을 심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물을 잡으면, 근 한 달 동안을 가두어 두기 때문에 비료분의 손실이 많아 농사가 잘 안 된다는 뜻으로 “입하에 물 잡으면 보습에 개똥을 발라 갈아도 안 된다.”라는 말도 있다.
참고문헌
韓國民俗大觀4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1)
民俗誌 (江原道, 1989)
洪城의 民俗 (城文化院, 1994)
한국속담·성어 백과사전1 -속담 편 (박영원 외 편저, 푸른사상사, 2002)
해 뜨면 온갖 나비 날아들고, 해 지면 반딧불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산에는 으아리꽃 피고 으름 꽃향기 좋구나. 들에는 토끼풀꽃이 피고 미나리아재비가 피어난다.
뽕나무 잎이 활짝 피고 소나무꽃이 피어 온 동네가 송홧가루로 덮인다.
5월은 입하로 시작한다.
여름 기운이 일어서 서리가 사라진다.
입하는 보통 어린이날 무렵. 그러니 이날 비닐집에서 가꾸던 모종들이 모두 밭으로 나온다.
'관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기이야기-망종(2014.06.13.) (0) | 2014.06.13 |
---|---|
절기이야기-소만(2014.05.21.) (0) | 2014.05.21 |
진해앞 바다 '세월호'여객선 침몰 일지(1). (0) | 2014.04.26 |
절기이야기-곡우(2014.04.20.) (0) | 2014.04.20 |
절기이야기-청명(2014.04.05) (0) | 201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