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의 유래

추석은 한가위 또는 중추절이라고도 한다.
[예기(禮記)]의 ‘조춘일 추석월(早春日 秋夕月)’에서 나왔다.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 중추, 종추 3달로 나누어 8월이 그 가운데 들어서 붙인 이름이다.
한가위, 즉 가윗날의 유래는 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뉘고 왕녀(王女) 2인이 각부를 통솔하여 무리를 만들고 7월16일부터 길쌈을 하여 8월15일 그 성과를 살펴 진 편이 술과 음식을 내놓아 이긴 편을 축하고 가무(歌舞)와 놀이로 즐겼으며 이를 ‘'(嘉俳)’라 하였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뜻으로 8월15일이 우리의 대표적인 만월 명절이기 가배때문에 붙여졌거나, 오곡백과가 풍성하여 일년 가운데 가장 넉넉한 때라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라고 여겨진다.
추석의 풍속

한가위가 되면 아침저녁으로 기후가 쌀쌀해지므로 사람들은 여름옷에서 가을옷으로 갈아 입는다.
그래서 한가위에 입는 새 옷을 추석빔이라고 하기도 한다.
옛날 머슴을 두고 농사짓는 집에서는 머슴들까지도 한가위에 새 옷을 한 벌씩 해 주었다.
한가위 날 아침 일찍 일어나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차례를 지내는 일이다.
차례상은 설과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술을 빚으며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낸다. 차례를 지낸 뒤 음복을 하고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하는데, 한가위에 앞서 미리 갈아놓은 낫으로 벌초를 한다.
한편 지금은 잊혀져 가는 풍속이지만 예전에는 ‘반기'가 있다. 옛날에는 사방 한 뼘 크기의 목판이 집집마다 수 십 개씩 있었다. 바로 명절 때 반기(음식을 나누는 것)를 하기 위한 ‘반기나무접시’이다.
집집마다 정성껏 차린 시절음식들을 예쁘게 담아 어린이들이 분주히 오갔다.
이날에는 시집간 딸이 친정어머니와 중간지점에서 만나 반나절을 함께 회포를 풀고 가져온 음식을 나눠 먹으며 즐겼는데 이를 중로상봉(中路相逢), 즉 ‘반보기'라 하였다.
차례상차림.

차례음식은 기제사(忌祭祀)와 거의 같지만, 명절 계절 특식을 천신하는 제례여서 제사밥(메)과 제사국(갱)을 올리지 않고 그 자리에 송편을 올린다.
따라서 추석에는 시접에 숟가락은 담지 않고 젓가락만 담는다.
진설 방법은 각 가정이나 지방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과실류의 진설에 있어서 ‘예서’에는 남쪽 끝 줄에 올린다고만 되어 있을 뿐 그 순서를 밝히지 않아 이설이 분분하다.
[진설 방법]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동두서미(東頭西尾): 생선은 머리를 동쪽, 꼬리를 서쪽에 놓는다. 좌포우해(左脯右醢): 외쪽에 포를, 오른쪽에 생선젓을 놓는다. 고서비동(考西妣東: 신위와 송편 및 술잔은 아버지가 서쪽, 어머니가 동쪽이다. 적전중앙(炙奠中央): 적은 잔을 올릴 때마다 바꿔 올리는 제수의 중심음식이므로 제상의 중앙(제3열)을 놓는다.
[과실류의 진설] 동조서율(東棗西栗): 대추는 동쪽에 놓고 밤은 서쪽에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동서조율을 전제로 한 방법. 동쪽으로부터 대추, 감, 사과의 순으로 붉은 과실을 놓고 서쪽으로부터 밤, 배의 순으로 흰 과실을 놓으며 중간에는 조과를 놓아 색깔의 현란함을 피한다. |